728x90
반응형
자국통화
자국통화가 강세일때
가치가 부풀려지면, 수출 상품들의 가격을
비싸게 만들게 된다.
이는 곧 수입제품들이 자국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이기도 하다.
인건비를 낮춰 수출품 가격을 인하 할 수 있지만
(노동조합이나, 노동자 집단반발 등으로 한계에 부딪힌다.)
극적인 변화는 예기치 못한 파행을 초래하게 된다.
그러면 국가는 인위적으로 인플레이션을과 디폴트를 만들어내며,
자국 통화를 안정시키고 수출품에 대한 이득을 취하려고 할 것이다.
또 다른 방법으로 수입제품에 관세를 부과하여 국내시장 경쟁양상 조정이 가능하다
그러면 자국업체 제품이 국내시장에서 갖는 제품점유율은 올라갈 것이고,
물가인상은 되지만, 생활비를 적당히 감수하면
자국내 경제가 활발이 돌아가면서, 일자리가 창출되기 시작한다.
관세는 => 공공사업을 발행하게 되면 (도로, 교통, 항만 등등) 으로 다시 자국내 일자리는 늘어나게 된다.
관세와 통화조정은
무역의 흐름을 바꿔 국내 생산과 고용을 확대
할 수 있다.
경제 -> 정치
정치 -> 경제
여기서 정치라는 결정권자에 의해
방향이 결정되어 진다는 것을
간과해서는 안된다.
자국통화가 강세일때,
나타날 수 있는 경제변화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다.
상황은 언제나 변하며,
언제나 많은 수의 변수가 존재한다.
무엇이든 맹신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을
잊지말자.
2021년 12월8일 자

728x90
반응형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뉴스 : 시각] 새로운 정보에 의심하라. 뉴스나 책을 읽을때는 의심부터 해야한다? (9) | 2021.12.18 |
---|---|
[영테크] 재테크, 1도 모르겠다면 청년지원정책 영테크 어떤가요? 무료 (6) | 2021.12.17 |
[경제 : 인플레이션] 인플레이션이 노동자를 강타한다고? 나한테 왜? (2) | 2021.12.13 |
[경제 : 용어] 네마녀의 날 (quadruple witching day) (0) | 2021.12.12 |
[예금보장] 뭐? 은행이 파산한다고? (0) | 2021.12.06 |